안녕하세요.
그레이비랩 Toby라고 합니다. 바쁜 인사담당자분들을 위해 채용, 조직문화, 조직관리, 인사전략 등을 주제로 책을 선정, 정리한 콘텐츠를 뉴스레터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약간의 마케팅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
|
|
지난 뉴스레터에는 이번 뉴스레터에는 '채용'이라는 첫 단추에서 잠재력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전해드렸었습니다. 잠재력을 가진 우수한 후보자를 채용한 이후에 어떻게 하면 놓치지 않고 함께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본 뉴스레터는 하버드 머스트 리드 인사 혁신 전략 중 21st-century Talent spotting 이라는 아티클(클라우디오 페르난데즈 아리오즈: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수석연구원) 일부를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어렵게 얻은 인재를 놓치지 않는 방법
잠재력이 높은 후보자를 직원으로 채용했거나 현 직원 중에 찾아냈다면, 이제 그들을 유지하는 방법에 집중할 때입니다. 경쟁사들도 치열한 인재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잠재력 있는 직원들을 적극적으로 유인해가려 할 것이기 때문이죠. 다음은 잠재력 있는 직원들을 놓치지 않는 방법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 4T를 보장하라.(업무task를 언제time 누구team와 어떤 방식technique으로 할지)
- 달성 가능한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몰입 끝네 숙달에 이를 있도록 도와라.
- 팀, 조직, 또는 사회적 차원에서 더 큰 목표를 제시하라.
- 합당하게, 이상적으로는 평균 이상 수준으로 보상하라.
도전과제를 통해 Comfort zone에서 벗어날 기회를 제공
마지막으로 할 일은 잠재력을 갖춘 직원들 자신이 편안하게 느끼는 영역(Comfort zone)에서 벗어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잠재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입니다. 뉴질랜드 은행 ANZ의 인사책임자 조나단 하비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임원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다음 역할을 맡길 때, 다음 역할 또는 프로젝트에서 가장 적절한 수준의 불편함을 느끼도록 신경쓰고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가장 많이 배우기 때문이죠.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게 하려는 건 아닙니다. 저희가 원하는 건 세상을 넓은 시야로 바라볼 수 있는, 균형 잡히고 가치지향적인 리더입니다. 적당히 어려운 도전과제를 수행하다 보면 그저 그런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
잠재력 있는 인재가 일자형 사다리를 따라 더 큰 직무, 예산, 직원 규모를 담당하게 되면 성장은 하겠지만 성장 속도가 빨라지지 않습니다. 다양하고 복잡하며, 어렵고 불편한 역할을 맡아야 성장 속도가 빨라집니다. 최근 전 세계 임원 823명에게 자신의 경력을 돌아보고 잠재력을 끌어낸 요소가 무엇인지 알려달라는 질문을 했는데요, 가장 많이 나온 답변은 '도전과제'로 무려 답변의 71%를 차지했습니다. |
|
|
ANZ은행의 사내 리더십 개발 프로세스 개선 사례
ANZ는 2007년에서 2010년까지 아시아 전역에 진출하면서 많은 직원을 채용했습니다. 직원이 늘어나자 사내 리더십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하기로 했고, '제네럴리스트 뱅커스 프로그램'이라는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매년 10~15명이 도매 금융, 상업 금융, 소매 금융, 위기관리, 일반 관리 등을 2년간 순환 근무하며 업계 및 기업 관련 지식을 광범위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순환 근무 이후에는 지역, 문화, 상품, 고객 대면 관련 지식과 경험을 쌓는 데 집중합니다. 또한 내부 감사팀도 필수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은행의 규제 프레임워크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죠. 프로그램 참가 기간은 15년으로, 마지막 목표는 한 국가를 담당하는 지사 CEO입니다.
'제네럴리스트 뱅커스 프로그램' 의 성과
- ANZ 고위급 임원의 외부 영입 인재 비율의 감소(70% --> 20% 미만)
- 직원 몰입도 향상(64% --> 72%)
- 2013년 2년 연속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글로벌 은행 4위 선정(2008년 12위)
HRer의 최고 우선순위: 잠재력 높은 인재를 찾아내고 개발하기
지금 이 순간에도 지정학적 여건, 비즈니스, 업계 상황, 직무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어 겨우 몇 년 후에 어떤 역량이 필요할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잠재력이 높은 인재를 찾아내고 개발해야 합니다. 도전적인 목표를 추구하면서도 탁월한 성과를 내겠다는 강력한 동기가 있으며, 개인의 욕구보다 조직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겸손함을 갖추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안을 탐색하는 호기심 넘치는 인재를 찾아야 합니다.
국내유일 Culture-fit 채용 서비스 그래버HR으로 잠재력 높은 인재를 찾아보세요.
그래버HR은 국내 최초로 AI로 기업의 Culture-deck을 분석하고 피검사자는 진단을 통하여 조직과 피검사자의 Culture-fit을 확인할 수 있는 도구인데요, 국내 15만개 기업의 5,000만개 이상의 Culture data를 바탕으로 기업의 Culture-deck을 구현하고 핵심 진단을 통하여 Culture-fit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뿐만 아니라 조직과의 일하는 방식, 일하는 문화 즉 Culture가 얼마나 잘 맞는지, 잘 적응 가능한지 등을 데이터 기반으로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채용 담당자 또는 경영진이 계시다면, 저희가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래버HR 문의하러 가기 / 그래버HR 알아보기)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레이비랩 Toby 드림.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주식회사 그레이비랩
support@gravylab.co.kr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524 스파크플러스 코엑스 070-4337-0617수신거부 Unsubscribe |
|
|
|
|